[창녕] 남지“개비리길”트레킹
■ 산행일자 : 2019년 10월 13일(일)
■ 출발장소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08:00”
■ 준비품목 : 회비(추후정산), 카메라, 식수, 기호식(중식포함), 여벌의옷(목욕예정) 등
■ 산행코스 : 창나루주차장→창나루전망대→6남매나무→마분산(180m)→영아지전망대→영아지→야생화쉼터→죽림쉼터→옹달샘쉼터→용산양수장→창나루주차장
■ 산행시간 : 약 6.4km, 약 3시간예상
■ 개비리길 개요
[남지] 개비리길은 남강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유역의 벼랑 중간에 있는 개비리길은 수려한 강의 풍광을 보며 걸을 수 있어 매력적이다.
'비리'는 벼랑의 경상도 사투리인데, 개비리길은 '개가 다니는 벼랑길'을 뜻한다.
여기에는 전설이 서려 있다. 영아지마을의 한 노인이 키우던 누렁이가 새끼를 11마리나 낳았다. 그중 한 마리가 유독 작은 탓에 형제들로부터 따돌림을 받아 어미 젖도 제대로 못 얻어먹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노인은 강아지들을 시장에 내다 팔면서 따돌림 당한 놈은 남겨 놓았다. 마침 이웃마을로 시집간 딸이 친정에 다니러 왔다가 그 강아지를 보고는 키우겠다며 가져갔다. 그 다음 날부터 하루에 한 번씩 어미 누렁이가 딸의 집에 나타나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게 아닌가. 신기하게 여긴 마을사람들이 어느 눈 내린 겨울날 누렁이를 뒤따라가 보니 폭이 좁고 가팔라 눈이 쌓이지 않는 벼랑길로 왕래하고 있었다. 그 후로 이 길에 '개비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또 다른 유래로는 ‘개’는 강가를 말하며 ‘비리’는 벼랑이란 뜻의 벼루에서 나온 말로서 강가 절벽 위에 난 길의 뜻으로 벼랑을 따라 조성된 길을 의미한다.
개비리길은 임진왜란과 6·25전쟁 때 격전이 벌어졌던 수난의 현장이기도 하다.
1592년 임란이 발발하자마자 의병을 일으킨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1552~1617) 장군은 개비리길이 있는 마분산(馬墳山)에 토성을 쌓고 왜적과 싸워 승리를 거뒀다. 당시 망우당은 왜적의 총탄에 맞아 죽은 자신의 애마를 토성 안에 묻었는데, '마분(말무덤)'이란 산 이름은 거기서 유래됐다.
6·25 때는 부산을 점령하기 위해 창녕으로 밀고 내려온 북한군에 맞서 아군이 배수진을 치고 싸운 끝에 가까스로 저지할 수 있었지만 강이 피로 물들 정도로 큰 희생을 치렀다.
개비리길 주변은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장군과 의병들이 육지에서 첫 승리를 거둔 기음강 전투의 역사적 현장이며, 한국전쟁의 낙동강 최후 방어선으로 남지철교(등록문화재 제145호)와 함께 전쟁의 상흔이 남아 있는 곳이기도 하다.
“Click 하시면 큰 지도를 보실 수 있습니다”
'[등산자료] > 산행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양] 선비길(화림계곡) 트레킹계획---2019년 10월 20일(일) (0) | 2019.10.14 |
---|---|
[부산] 봉래산둘래길 트레킹 계획---2019년 10월 17일(목) (0) | 2019.10.11 |
[고양]북한산(숨은벽→백운대→우이동) 산행계획---2019년 10월 10일(목) (0) | 2019.09.30 |
[제천] 월악산(영봉 1.097m) 산행계획---2019년 10월 08일(화) (0) | 2019.09.30 |
[통영]천암산(258m),여황산 산행계획---2019년 10월 3일(목) (0) | 2019.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