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5산종주 계획
(불암산, 수락산, 사패산, 도봉산, 북한산)
♣ 산행일자 : 2013년 10월 12일(토)∼13일(일)
♣ 집결장소 : 노포동 “고속버스터미널” --- 00:00 (00:30분 리무진버스 이용예정)
♣ 산행코스
[10/11, 토] 재현중→정암사→불암산(510m)→덕릉고개→수락산(638m)→홈통바위→동막골→범골통제소→사패산(552m)→도봉산(신선대, 740m)→우이암→우이동(백두산랜드 1박)
[10/12, 일] 우이동→육모정고개→영봉(604m)→하루재→백운산장→위문→북한산(백운대, 837m)→용암문→대동문→보국문→대성문→대남문→구기계곡→구기동유원지(날머리)
♣ 산행시간 : 총 43.5km (1일차 : 27km 11시간, 2일차 : 16km 7시간)
♣ 준비물 : 회비(1/N), 식수, 중식, 기호식, 스틱, 랜턴, 여벌의옷(목욕) 등
※ 참석하실분은 9/30일(월)까지 아래계좌로 100,000원을 입금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부산은행 031-12-054657-0 김정종) : 고속버스 예약관계
♣ 불수사도북이란?
불수사도북은 수도권의 대표적인 장거리 산행코스로서 서울시,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 등 수도권 6개시에 걸쳐있는 불암산, 수락산, 사패산, 도봉산(신선대), 북한산(백운대)의 약칭으로 정암사 입구에서 시작하여 불암산→수락산→사패산→도봉산→북한산의 산줄기를 차례로 이어서 구기동유원지로 하산하는 산행코스이다.
불수사도북 산행의 장점은 불암산과 수락산을 산행하면서 서울과 의정부의 조망을 맛볼 수 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암장인 인수봉을 필두로 노적봉, 백운대, 염초봉, 홈통바위, 불암산정상 등 빼어난 암릉미를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을 불수사도북은 설악산 단풍 못지않은 각산의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단풍의 감상할 수 있다.
불수사도북은 코스가 다양하기 때문에 거리를 환산하기는 어려움이 있으나 보편적으로 약 43km 정도를 잡으며, 산행시간은 산행속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이번 산행에서는 18시간으로 잡아본다.
1) 불암산
서울시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필암산(筆岩山), 천보산(天寶山)이라고도 한다. 높이 507m. 불암산은 덕릉고개 남쪽에 높이 420 m의 또 하나의 봉 우리를 거느린 산으로, 산 자체는 단조로우나 거대한 암벽과 절벽, 울창한 수목이 어울려 아름다운 풍치를 자랑한다. 산 남쪽 사면에는 불암산 폭포가 장관을 이룬다. 또한 산에는 신라 지증국사(智證國師)가 세운 불암사와 그 부속 암자인 석천암(石泉庵)이 있고, 조선시대에 무공(無空)이 세운 학도암(鶴到庵) 등도 있다. 그 밖에 산중에는 태릉(泰陵) ·강릉(康陵) 등의 능이 있고, 산정에는 옛 성터와 봉화대 터가 남아 있다. 부근 일대에는 육군사관학교 ·서울여대 ·삼육대학 ·태릉선수촌 등이 있다.
2) 수락산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별내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638m. 도봉산과 함께 서울의 북쪽 경계를 이룬다. 화강암의 암벽이 노출되어 있으나 산세는 험하지 않고, 남쪽에 있는 불암산(佛岩山)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동쪽에 금류계곡(金流溪谷)이 있다. 서쪽 비탈면에 쌍암사(雙岩寺)·석림사(石林寺), 남쪽 비탈면에 계림암(鷄林庵), 흥국사(興國寺), 동쪽 비탈면에 내원암(內院庵)이 있고, 내원암의 법당 뒤에는 고려시대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2m의 석조미륵입상이 있다. 1996년 시민 휴식공간 확충을 위해 삼림욕장이 조성되었다.
3) 사패산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과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552m이다. 북한산국립공원의 북쪽 끝에 있는 산으로, 동쪽으로 수락산, 서남쪽으로 도봉산을 끼고 있다. 도봉산과는 포대능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사이에 회룡골계곡이 있다. 의정부시 서쪽에 있으며,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4km 길이의 송추계곡은 북한산국립공원 송추지구로 지정되어 관리된다. 사패산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선조의 6째 딸인 정휘옹주가 유정량(柳廷亮)에게 시집갈 때 선조가 하사한 산이라고 하여 붙은 것이다.
4) 도봉산
서울 도봉구, 경기 양주시, 의정부시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740m이며, 주봉(主峰)은 자운봉이다. 북한산(北漢山)과 함께 북한산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서울 북단에 위치한다. 우이령(牛耳嶺:일명 바위고개)을 경계로 북한산과 나란히 솟아 있으며, 북으로 사패산이 연이어 있다. 면적이 24㎢로 북한산의 55㎢에 비해 등산로가 더 조밀하며, 산 전체가 큰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주봉, 우이암과 서쪽으로 5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서 있는 오봉 등 각 봉우리는 기복과 굴곡이 다양하여 절경을 이루는데, 선인봉은 암벽 등반코스로 유명하다.
5) 북한산
서울 은평구·종로구·성북구·강북구, 경기 고양시 덕양구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836m이다.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삼각산(三角山)으로 더 잘 알려진 산이다. 이는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의 만경대(萬景臺:일명 국망봉)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삼봉산(三峰山), 화산(華山) 또는 부아악(負兒岳) 등으로도 부른다.
중생대 말기에 지층에 파고 든 화강암이 지반의 상승과 침식작용으로 표면에 드러났다가 다시 풍화작용을 받아 험준한 바위산이 되었다. 서울 근교의 산 가운데 가장 높고, 산세가 웅장하여 예로부터 서울의 진산(鎭山)으로 불렸다. 최고봉인 백운대에 오르면 서울 시내와 근교가 한눈에 들어오고, 도봉산, 북악산, 남산, 관악산은 물론, 맑은 날에는 강화도, 영종도 등 황해의 섬도 보인다.
Click 하시면 큰지도를 보실 수 있습니다.
'[등산자료] > 산행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관악산, 삼성산 산행계획 (0) | 2013.09.16 |
---|---|
[수도권] 남부7산(광교산, 백운산, 바라산, 청계산, 우면산, 관악산, 삼성산) 종주계획 (0) | 2013.09.13 |
[지리산] 서북능선 산행계획---2013년 9월 14일(토) (0) | 2013.09.09 |
[울주] 간월공룡, 신불공룡 산행계획---2013년 9월 7일(토) (0) | 2013.09.06 |
[창원] 비음산, 대암산, 용지봉 산행계획---2013년 9월 8일(일) (0) | 201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