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경 나제통문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가 국경을 이루던 곳이다.
제2경 은구암
나제통문에서 2.9km 거리에 있다. 구산 마을의 남쪽 계곡 운장대(雲壯臺) 앞에 마치
거북이 형상의 바위가 숨어 있는 것 같다 하여 은구암(隱龜岩)이 되었다.
옛날 선녀들이 내려와 목욕을 즐기던 곳이라고
하여 강선대(降仙臺)로도 불린다.
제3경 청금대
은구암 남쪽 0.5km 지점에 있다. 흐르는 개울 물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마치 탄금(彈琴) 소리와 같이
신비로움을 느낀다고 한다.
제4경 와룡암 (와룡담)
청금대에서 1.9km 쯤 물길을 따라 올라가면 일사대를 휘감고 흐르는 물이 누워 있는 용처럼
생긴 바위 주변을 맴돌며 담을 이룬다.
제5경 학소대
와룡담에서 600미터 지점, 서벽정 동쪽 계곡에 학이 둥지를 틀고 살던 노송이 있던 명소다.
와룡담에서 600미터 지점, 서벽정 동쪽 계곡에 학이 둥지를 틀고 살던 노송이 있던 명소다.
지금은 소나무도 풍수해에 휩쓸려 떠내려가고 없으며, 학도 날아 다니지 않는다.
다만 낙엽활엽수종으로 울창할 뿐이다.
제6경 일사대
학소대 상류 300미터 지점, 서벽정 아래 계곡에 있다.
조선말기 학자 송병선이 이 곳의 아름다운 경치에 반해 서벽정(棲碧亭)이라는 정각을 짓고
후진을 양성하며 소요하던 곳이다.
일사대라 한 것은 송병선을 동방에 하나 밖에 없는 선비라는 뜻의 동방일사(東方一士)라 한데서
일사대라 한 것은 송병선을 동방에 하나 밖에 없는 선비라는 뜻의 동방일사(東方一士)라 한데서
비롯한다. 천길 낭떠러지의 우뚝한 창암, 수성대가 천년송을 머리에 인 채 일사대를 굽어
보는 모습은 장관을 이룬다
제7경 함벽소
일사대에서 400미터 지점의 개울가에 있다. 구천계곡을 누비고 흐르다가 잠시 멈눈 맑은 물에
일사대에서 400미터 지점의 개울가에 있다. 구천계곡을 누비고 흐르다가 잠시 멈눈 맑은 물에
자락을 드리운 암벽이 거울같은 옥수를 굽어 본다.
구천동 굽이굽이 흐르는 물이 어디는 푸르지 않으랴마는
이 곳의 소에 담긴 물이 주위의 녹음과 어울려 유난히 푸르다는 뜻이다.
제8경 가의암
제7경 함벽소에서 약 300미터 위로 거슬러 올라간다.
평평한 반석이 층층을 이루고 있어 한 눈에 예사롭지 않음을 직감할 수 있는 곳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옛날에는 이 근처의 바위들이 모두 날카로워 쉴 곳이 마땅찮았다 한다.
특히 노인들이 불편해 하자 이 곳을 지나던 스님이 도술을 부려 바위를 평평하게 깎아 놓았다 한다.
제9경 추월담
가의암에서 부터 약 2킬로미터 정도 한 참을 올라가야 한다.
가을 달빛에 비춰진 주변의 경관이 깊은 담 속으로 빠져들면
신선들이 노니는 곳처럼 아름답다는 곳이다.
제10경 만조탄
제9경 추월담에서 약 600미터 거리에 있다.
울창한 수림과 기암 사이로 흐르는 맑은 물이 개울가에 곱게 깔린 자갈밭을 적시면서 여울을 이룬다.
예부터 낚시터로 이름난 만조탄은 석양빛 여울에 낚시를 드리우는 기분이 일품이다.
옛날 구천동에 구천명의 승려들이 기거할 때 밥쌀을 씻으면 뜨물이 이곳까지 흘러 왔다하여
'뜸재' 또는 '뜨물재'라고도 한다고 한다.
제11경 파회
만조탄에서 1.2km 지점. 구천계곡을 휘어 감고 흐르다 담에 잠겼던 맑은 물이 굽이진 암반을 타고
구르다가 갑자기 쏟아져 내리는 폭포수의 물보라가 장관을 이루고 파회 입구 한길 가에
천년 송을 머리에 이고 서 있는 천송암이 일품이다
제12경 수심대
파회에서 400m 구간이 연계된 명소다. 옥같이 맑은 물이 굽이굽이 돌고 돌아 흐른다 하여
수회(水回)라고도 하는 수심대는 병풍처럼 둘러친 절벽산이 마치 금강산과 같다 하여
소금강이라고도 부른다. 신라 때 일지대사가 이 곳에서 흐르는 맑은 물을 보고 깨우친 바 있다 하여
수심대라 했다고 한다.
제13경 세심대
파회에서 1.8km 지점에 있다. 세심대는 무주리조트를 꺾어 들어가는 삼거리 근처이다.
수심도 얕고 길에서 가까워 많은 피서객이 붐비는 곳이다.
맑은 물에 씻긴 기암이 흐르다 멈춘 담수에 자락을 드리운 채 우뚝 솟아 구천동을 오가는 행인들의
몸과 마음을 씻어주는 곳이라 하여 붙인 이름이다.
옛날 불교 전성기였던 신라와 고려시대에 구천동 불교성지를 찾아오던 사람들이
이곳에 이르러 속세에서 찌든 몸과 마음을 씻었다 하여 '세심대'라 부른다.
구천동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소머리를 닮은 바위가 있는 고갯길이었다하여
'소머리고개'라고 부르던 곳이다.
제14경 수경대
병풍처럼 둘러친 암벽 아래로 비단결 같은 암반 위를 미끄러져 내린 물이 거울같이 맑은 담을 이룬다.
제15경 월하탄
수경대에서 3km 쯤의 덕유대 야영장 입구에 있다.
수경대에서 3km 쯤의 덕유대 야영장 입구에 있다.
여울진 기암을 타고 쏟아지는 폭포수가 달빛에 비치면 장관을 이룬다.
선녀들이 하얀 날개를 펼치며 춤을 추듯이 두가닥 물줄기가 폭포처럼 쏟아져 푸른 담소를 만들고 있다
16경 인월담
월하탄에서 300m 지점. 신라 때 인월화상이 절을 짓고 수도하던 곳이다.
반석 위로 쏟아지는 폭포수는 소를 만들고 바닥에 깔린 반석위로 미끄러지며 비단폭을 이룬다.
고향앞 시냇가의 징검다리를 연상케 하며 오가는 탐방객을 정답게 반겨주는 곳입니다.
근처에서 신라시대 인월화상이 수도하던 인월암자가 있었다하여 인월담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고향앞 시냇가의 징검다리를 연상케 하며 오가는 탐방객을 정답게 반겨주는 곳입니다.
근처에서 신라시대 인월화상이 수도하던 인월암자가 있었다하여 인월담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17경 사자담
인월담에서 200m 쯤에 있다.
인월담에서 200m 쯤에 있다.
기암절벽으로 둘러쌓인 소(沼)이며,
옛날에 칠보산 사자가 여름달밤에 목욕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으로
지금도 칠봉을 사자목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옛날에 칠보산 사자가 여름달밤에 목욕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으로
지금도 칠봉을 사자목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19경 비파담
여러 물줄기를 타고 쏟아지는 폭포 밑의 못이 비파모양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하늘의 7선녀가 구름을 타고 내려와 목욕을 한 후
넓은 반석 위에 앉아 비파를 뜯으며 즐겼다 하여 비파담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제20경 다연대
비파담과 연계된 기암이다.
비파담과 연계된 기암이다.
구천동을 탐승하던 옛 선인들이 비파담으로 미끄러지는 옥류(옥류)에 감탄하고 차를 끓여 마시면서
심신의 피로를 풀었다는 명소다.
21경 구월담
다연대에서 300m 지점.
다연대에서 300m 지점.
구천 계곡과 월음령 계곡의 물이 합류하여 담을 이루고 있고
계곡 양쪽 반석의 모양과 색깔이 서로 다른 곳으로
풍치가 좋아 구월담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계곡 양쪽 반석의 모양과 색깔이 서로 다른 곳으로
풍치가 좋아 구월담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22경 금포탄
구월담에서 백련사 계곡으로 오르다가 900m 지점에 있다.
구월담에서 백련사 계곡으로 오르다가 900m 지점에 있다.
바람소리 숲의 소리, 옥수가 부딪치는 계곡의 소리, 새들의 노래가
탄금(彈琴)을 능가하는 신비로운 음율을 구성하고 있다하여 금포탄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탄금(彈琴)을 능가하는 신비로운 음율을 구성하고 있다하여 금포탄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제23경 호탄암
금포탄에서 700m 지점에 있는 거암이다.
금포탄에서 700m 지점에 있는 거암이다.
칠불산(七佛山) 호랑이가 산신령 심부름을 가다가 이곳에서 미끄러져 낙상했다는 전설이 있다.
제24경 청류계
호탄암에서 안심대까지 이어지는 1.1km 구간의 계곡이다.
호탄암에서 안심대까지 이어지는 1.1km 구간의 계곡이다.
울창한 수림과 기암괴석 사이로 흐르는 맑은 물이 비경을 이룬다.
제25경 안심대
청류계와 연게되는 안심대는 구천동과 백련사를 오가는 행인들이 개울물을 안심하고
청류계와 연게되는 안심대는 구천동과 백련사를 오가는 행인들이 개울물을 안심하고
건너 다니는 여울목이다. 기암 사이로 쏟아지는 폭포수와 맑은 물이 아름다워
덕유산을 오르는 등반객들의 휴식공간이 되고 있다.
제26경 신양담
안심대에서 200m 지점에 있다.
안심대에서 200m 지점에 있다.
속칭 새양골이라고 부르는 신양담은 숲터널로 이어진 구천동 계곡중 유일하게
햇빛을 볼 수 있는 곳으로 길 아래 기암과 맑은 담이 아름답다.
제27경 명경담
신양담에서 300m 지점.
신양담에서 300m 지점.
여울목에 잠긴 물이 거울같이 맑다 하여 명경담(明鏡潭)이라 한다.
28경 구천폭포
폭포가 별로 없는 구천동 계곡 내 대표적인 2단 폭포로
규모는 크지 않으나 아기자기하고 포근한 정감이 있는 곳입니다.
제29경 백련담
구천폭포에서 200m 지점에 있는 백련담은 연화폭을 거친 맑은 물이 담겨 못을 이루고 흘러간다.
규모는 크지 않으나 아기자기하고 포근한 정감이 있는 곳입니다.
제29경 백련담
구천폭포에서 200m 지점에 있는 백련담은 연화폭을 거친 맑은 물이 담겨 못을 이루고 흘러간다.
백련사가 지척에 있다.
제30경 연화폭
백련담과 이속대를 잇는 300m 구간의 계곡으로, 흘러내리는 물이 게곡의 층층암반과
백련담과 이속대를 잇는 300m 구간의 계곡으로, 흘러내리는 물이 게곡의 층층암반과
기암괴석에 부딪치며 이루는 폭포수와 물보라가 장관이다.
제31경 이속대
제31경 이속대
연화폭과 이어지는 이속대는 백련사와 지척간에 있다.
기암과 좁은 홈을 타고 미끄러지듯 쏟아지는한줄기의 폭포수가 신비롭다.
사바세계를 떠나는 중생들이 속세와의 인연을 끊는 곳이라 하여
이속대(離俗臺)라 한다.
덕유산 중턱의 신라 때 고찰로 덕유산 정상을 오르는 탐승객들의 휴식처로 이름나 있다.
덕유산 중턱의 신라 때 고찰로 덕유산 정상을 오르는 탐승객들의 휴식처로 이름나 있다.
제32경 백련사
이속대에서 300m 지점에 있다.
이속대에서 300m 지점에 있다.
신라 신문왕 때 백련선사(白蓮禪師)가 숨어 살던 곳에 하얀 연꽃이 솟아나와 절을 짓고
백련암이라 하였다고 전하는 고찰이다.
불교 전성기에는 14개의 사암(寺庵)이 있어 9000 승려들이 도를 닦던 곳이어서
불교 전성기에는 14개의 사암(寺庵)이 있어 9000 승려들이 도를 닦던 곳이어서
구천동(九千洞)이라는 지명을 얻게 된 이 곳은 조선 중기에 부용(芙蓉), 부휴(浮休), 정관(靜觀),
벽암(碧岩) 대사 등 수많은 고승들이 선풍(禪風)을 일으켰던 불교 성지로서 한때는
구천동사(九千洞寺)라 이름하기도 하였다.
전라북도 기념물 62호로 지정되었고, 경내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43호인 매월당 부도와,
102호 정관당 부도, 기념물 42호인 백련사 금강계단 등이 있다.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덕유 마을에 소재한다.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덕유 마을에 소재한다.
제 33경 덕유산 향적봉
백련사에서 약 2.5킬로미터의 오름길이다. 바위로 된 정상은 해발 1,614미터이다.
여기서 내려다보면 지리산 천왕봉, 가야산, 황매산, 대둔산, 계룡산 등 시야가
확 트여 잘 보인다.
백련사에서부터 시작해서 향적봉을 오르는 가장 짧은 거리지만
그 덕분에 등산로는 급경사를 이루면서 숨이 턱턱 막힌다.
'[자료실] > 유익한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화폐 변천사 (0) | 2009.06.30 |
---|---|
인간과 지구의 환경 2009년 풍경 [2009 Human & Gloval Environment ] (0) | 2009.06.25 |
인간은 못먹는게 없어! 방울뱀, 전갈 등 특이한 통조림 모음 (0) | 2009.06.19 |
음식 예술가 Kevin Van Aelst (0) | 2009.06.18 |
여성의 신체변화 과정 (임신 13주 ~ 38주) (0) | 2009.03.16 |